kmbn 주소복사
조회 수 1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 총 45가구를 대상으로 주거재생 서비스(홈스테이징, 소규모 집수리) 지원

관할 구·군에서 추천받은 가구 대상으로 선착순 접수, 심사 절차 거쳐 지원 가구 최종 선정해 오는 11월까지 순차적으로 서비스 제공 예정

2022년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년간 총 125가구에 대해 서비스 지원 완료해

 

도시재생 일원화로 기존 지원 사항 외 결로 방지·방한 등도 포함해 소규모 집수리 서비스 지원 영역 확대 추진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취약계층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작년에 이어 올해도 '정리해드림(DREAM) 주거재생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리해드림 주거재생 지원사업은 저장강박장애 가구 등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한 가구를 대상으로 홈스테이징(정리·수납·방역 등), 소규모 집수리(도배·장판 교체 등), 폐기물 처리 등을 지원하는 생활 밀착형 사업이다.

 

시는 2022년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그간 총 취약계층 125가구*에 대해 주거환경 개선 서비스를 지원해왔다.

 

* 2022년도 55가구(홈스테이징), 2023년도 70가구(홈스테이징 60, 소규모 집수리 10)

 

2022년 시범사업 추진 시 홈스테이징 서비스만 지원했으나, 지원 과정에서 도배·장판 교체가 시급한 가구가 다수 파악됐다.

이후 2023년 사업 전면 재구조화를 통해 홈스테이징 외 소규모 집수리 서비스(도배·장판 교체 등)를 도입해 복합적인 주거재생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사업 기반을 구축했다.

 

올해는 총 45가구(홈스테이징 35가구, 소규모 집수리 10가구)를 지원할 계획이다. 홈스테이징 서비스 대상 가구를 우선 선정하고, 이후 소규모 집수리 서비스 대상 가구를 2차로 선정한다.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시 16개 구··행정복지센터가 함께 협업해 대상 가구를 발굴한다.

지원 신청할 수 있는 가구는 거주 관할 구·군에서 추천받은 가구로, 선착순 접수로 진행될 예정이다.

 

접수 이후 조건 적합 여부 확인 등 심사 절차를 거쳐 지원 가구를 최종 선정하고, 올해 11월까지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추천 가구를 대상으로 부산도시공사 및 전문기관 등 현장 방문을 통해 지원 방법을 모색해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 선정 가구에 홈스테이징 관련 노하우(교육)도 전수해 개선된 주거환경을 지속해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예정이다.

 

아울러, 올해는 기관 통합 후 부산도시공사 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 일원화해 사업을 본격 추진하는 만큼 소규모 집수리 서비스 영역도 확대해 운영한다.

기존 도배·장판 교체 외 결로 방지·방한 등도 추가 포함해 소규모 집수리 서비스 지원 영역을 확대한다.

향후 시와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체계를 면밀히 검토해 다각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종석 시 주택건축국장은 부산지역의 노후 주거 공간에 대한 세밀한 관심과 아낌없는 주거재생 지원 서비스를 지원하겠다라며, “아울러, 쾌적하고 위생적인 주거환경을 조성해 시민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겠다라고 밝혔다.

 

2.jpg

소규모 집수리 서비스 후 >

 

1.jpg

 

소규모 집수리 서비스 전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2 국내 최초 슬러시드, 「부산 슬러시드(BUSAN Slush’D)」 개최  kmbn2020 2023.06.30 24
211 2023~2024 한국방문의 해, 릴레이 나이트 팝업 운영  kmbn2020 2023.06.30 24
210 가덕도신공항 건설사업 보상업무 위·수탁 협약 체결  kmbn2020 2023.06.29 24
209 “광주시문화재단, 외부 지원금 5억원 유치 확정”  kmbn2020 2023.06.28 24
208 영상콘텐츠의 도시, 인천에서 별들이 다시 모인다  kmbn2020 2023.06.28 24
207 「제2기 수도권 대학생 서포터즈」,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이끈다!  kmbn2020 2023.06.09 24
206 대전시 수소경제 활성화‘박차’  kmbn2019 2020.11.06 24
205 경기도 건의로 ‘LH 임대산단’ 임대료 인하‥도내 3개 산업단지 코로나19 극복 마중물  kmbn2019 2020.07.02 24
204 유정복 시장, 동북아 미래위해 3국 지사·성장회의 제안  kmbn2020 2023.06.30 23
203 소진공, 전통시장 활성화 및 전기·가스 안전 업무협약 체결  kmbn2020 2023.06.29 23
202 국내외 인공지능 전문가들 “공공데이터 활용하고 도내 기업과 협업해 경기도 현안 해결”  kmbn2020 2023.06.09 23
201 경기도, 올해 스마트 축사시설 보급·확대에 207억 투자 14개 시군 91개 농가  kmbn2020 2023.05.12 23
200 게임을 즐기자! 기회를 만들자! 2023 플레이엑스포(PlayX4) 개막  kmbn2020 2023.05.12 23
199 광주시‘청년노동자 심리안정’위한 힐링공연 개최  kmbn2020 2023.05.12 23
198 경기도, 도내 중소기업 경제단체 대표들과 정책 현안 공유  kmbn2020 2023.05.10 23
197 인천시, 유망 스타트업 해외진출 돕는다  kmbn2020 2023.05.10 23
196 부산시, 「수입 수산물 원산지 표시 특별점검」 실시  kmbn2020 2023.05.10 23
195 광주시, 지능형 선별관제시스템 구축으로 ‘스마트 안전도시 구현’  kmbn 2023.04.12 23
194 광주 퇴촌면 32년된 낡은 청사, 신청사 부지 선정 완료  kmbn 2023.04.12 23
193 2020 언택트 자전거대행진 참여로 힐링을~  kmbn2019 2020.11.06 23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