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요과수 만개기 예측 : (413) 사과(424)

왕겨 태우기(연소법), 방상팬(송풍법), 미세살수 시설(살수법)로 저온피해 예방 가능

피해 입은 경우 인공수분 철저 및 착과 확인 후 열매솎기 작업 실시

 

 

경기도농업기술원은 평년보다 다소 높은 기온으로 인해 올해 과수 개화기가 예년에 비해 빠를 것으로 예측, 농가에 저온피해 준비를 당부했다.

5일 도농기원에 따르면 수원을 기준으로 지난해 12월부터 올 3월까지의 기온이 전년대비 1.7, 평년대비 2.7높아 과수 조기개화에 따른 예방 대책과 안정적 결실을 위한 인공수분의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올해 배 만개기는 413, 사과는 424일 전후로 예측되며, 이는 평년대비 10, 전년대비 7일 빠르다.

특히 사과, , 복숭아 등 낙엽과수의 경우 개화 상태에서 갑작스러운 저온이 되면 피해를 받을 우려가 높다. 개화기에 0도 이하의 저온이 30~60분 이상 지속될 경우 꽃에 결빙현상이 생기면서 조직이 파괴되고, 이는 수정불량으로 이어져 과일의 품질과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준다.

저온이나 늦서리가 예상되거나 상습피해 지역에서는 왕겨 등을 태우거나(연소법), 서리를 방지하기 위한 팬(방상팬)을 활용(송풍법), 스프링클러나 미세살수 시설을 이용(살수법)해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

만약 피해를 입었을 경우에는 늦게 핀 꽃에 인공수분을 실시해야한다. 중국산 꽃가루 등을 이용하는 농가는 농업기술센터에서 꽃가루의 상태를 확인한 후 사용해야 결실률을 높일 수 있다.

김현기 경기도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장은 저온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상예보를 주시하여야 하며, 만약 피해를 입었을 경우 열매솎기 작업은 착과가 완전히 끝난 후 실시해 수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0 전남도, ‘친환경비료’ 60만 6천톤 공급 추진  kmbn2019 2020.03.25 5
479 전남도, ‘양파·마늘 의무자조금’ 가입 막바지  kmbn2019 2020.03.27 4
478 전남도, ‘마늘 수급안정대책’ 가격 회복 주효  kmbn2019 2020.07.09 4
477 전남도, ‘농촌체험휴양마을’ 활성화 지원  kmbn2019 2020.03.27 4
476 재난기본소득 이은 경기도의 코로나19 극복 프로젝트 ‘착한소비 운동’  kmbn2019 2020.04.24 4
475 재개발지역에 무질서한 ‘빨간 글씨’ 사라진다  kmbn2019 2020.07.20 4
474 장마철 농작물 관리, 비온 뒤 관리가 더 중요합니다!  kmbn2019 2020.08.07 35
473 작지만 강한 농업 의령군 2020 강소농 기본교육실시  kmbn2019 2020.06.02 4
472 작물생육 관리와 병해충 방제 등 장마 이후 농작물 관리는 이렇게  kmbn2019 2020.08.13 28
471 자연 그대로 키운 산청 블루베리 수확  kmbn2019 2020.06.10 4
470 자녀와 함께하는 전통 장(醬) 만들기 체험 신청하세요  kmbn2019 2020.05.04 5
469 인천환경공단, 환경기술개발 실증화 기회 확대노력  kmbn2019 2020.06.19 11
468 인천환경공단, 재활용율 높이고, 시민 행복도 높인다!  kmbn2019 2020.06.17 10
467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브레일리스트 투자 확정  kmbn2019 2020.04.03 7
466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2020년 예비창업패키지 비대면 분야 예비창업자 모집  kmbn2019 2020.08.06 28
465 인천준법지원센터, 농촌지원 사회봉사 집행협의체 정례회의 개최  kmbn2019 2020.05.29 4
464 인천자활 도시농업센터 첫 수확  kmbn2019 2020.06.17 7
463 인천자활 도시농업센터 3차 버섯 수확하고 나눔 행사 열려  kmbn2019 2020.08.12 42
462 인천자활 도시농업센터 2차 버섯 수확‧나눔 행사 실시  kmbn2019 2020.07.06 4
461 인천의 하천 수질개선을 시민의 힘으로  kmbn2019 2020.03.25 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8 Next
/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