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미신고 농어촌민박(펜션) 이용하지 않기 캠페인 전개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미신고 농어촌민박(펜션) 시설 이용하지 않기

- 경기도 및 시군 홈페이지에서 신고업체 확인 가능

- 미신고 농어촌민박(펜션) 발견 시, 해당 시·군 농정부서 또는 보건부서로 신고

- 미신고 농어촌민박(펜션) 운영자 자진신고 기간운영 : ’20.5.25.()~6.19.()

 

 

경기도가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미신고 농어촌민박(펜션) 시설 이용하지 않기캠페인을 오는 814일까지 전개한다고 24일 밝혔다.

도는 캠페인 기간 미신고 농어촌민박(펜션)을 이용하지 않도록 적극 홍보하고 미신고 시설 운영자 자진신고를 받은 뒤 단속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캠페인은 올해 초 강원도 동해시에서 미신고 불법영업 펜션에서 가스폭발로 9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사고를 계기로 무신고 숙박업소 영업근절의 필요성이 커진데 따른 것이다.

농어촌민박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농림축산식품부령 또는 해양수산부령에 따라 시장·군수에게 농어촌민박 사업자 신고를 해야 하고 신고내용을 변경 또는 폐업할 때도 신고를 해야 한다.

민박사업자는 또 이용객 안전을 위해 소화기·휴대용비상조명등·단독경보형감지기 등을 설치하고 특히 화기취급처에는 객실마다 일산화탄소 경보기, 자동확산소화기 설치 등 안전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신고 없이 불법으로 영업하는 업체는 행정기관에서 시행하는 안전점검이나 그 어떤 관리·감독도 받지 않고 있어 이용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특히 불법 업소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 농어촌민박(펜션) 이용 시 적법 업소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이용하려는 농어촌민박이나 펜션이 신고가 된 적법한 시설인지 알아보려면 경기도청 홈페이지 사전정보공표메뉴나 각 시·군 홈페이지에서 명단을 확인하면 된다. 경기도 내 농어촌민박 신고 업체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총 3,150곳이다.

도는 525일부터 619일까지 미신고 농어촌민박(펜션)시설에 대한 자진신고 시 불법영업에 따른 영업장폐쇄 및 형사고발 조치 등 행정제재 조치를 면제할 계획이다.

이후 622일부터 814일까지 현장순찰과 단속을 강화해 미신고 농어촌민박 시설에 대해 행정처분을 추진하기로 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불법 미신고 농어촌민박(펜션)시설은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예약 전 신고된 안전한 민박시설인지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면서 불법 미신고 농어촌민박(펜션)시설 발견 시 해당 시·군 민박담당 부서 또는 보건부서로 반드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0 먹거리안전관리사가 올바른 농약사용법 알려줘요  kmbn2019 2020.04.03 7
259 광주시 송정동 새마을협의회, 사랑의 감자 심기 행사 개최  kmbn2019 2020.04.08 7
258 광주시, 착한임대인 범시민 운동 활성화 협약 체결  kmbn2019 2020.04.22 7
257 도 종자관리소, 고품질 벼 종자 생산을 위한 새로운 설명서 제작  kmbn2019 2020.05.12 7
256 어려운 사과농사, 농업기술센터에서 도와드립니다  kmbn2019 2020.05.22 7
» 불법 펜션, 안전하지 않아요. 이용하지 마세요!  kmbn2019 2020.05.25 7
254 산청군 ‘치유농업’으로 농촌 새 활력 찾는다  kmbn2019 2020.05.25 7
253 의령읍 남산천 주변 하수관로 정비사업 추진  kmbn2019 2020.06.02 7
252 인천시, 인천 뿌리산업일자리센터 개소  kmbn2019 2020.06.04 7
251 인천자활 도시농업센터 첫 수확  kmbn2019 2020.06.17 7
250 광주시 곤지암읍 새마을지도자협의회, 사랑의 감자 캐기  kmbn2019 2020.07.01 7
249 의령군, 무인드론을 활용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kmbn2019 2020.07.01 7
248 인천시, 인천e음 캐시백 10% 적용기간 8월말까지 연장  kmbn2019 2020.07.01 7
247 중소기업 홈쇼핑 입점지원사업 방송 실시  kmbn2019 2020.07.03 7
246 충북농기원, 벼 대체작물로 특용작물 연구에 주력  kmbn2019 2020.07.08 7
245 전남도, 미국 아마존에 ‘식품 전문 브랜드관’ 개장  kmbn2019 2020.07.09 7
244 사이소’접속하면 무조건 이득... 경북 농특산물 동행세일~  kmbn2019 2020.07.14 7
243 경기도, ‘인생2막 일자리부터 건강까지’ 중장년 종합지원 정책 추진  kmbn2019 2020.07.22 7
242 대구시설공단, 테크노폴리스로 터널세척으로 부분 통제  kmbn2019 2020.03.27 6
241 경북도, 환경개선부담금 3월말에서 6월말로납부 기한 연장!  kmbn2019 2020.03.30 6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8 Next
/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