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bn2019 주소복사
조회 수 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9,000억 원 규모 복합2구역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동서격차 해소 및 원도심 활성화 급물살

- 컨벤션, 문화공간, 랜드마크 주거 타워 탄생

- 생산 유발 18,000억 원, 취업 유발 11,200, 지역경제 호재

 

동광장에서 조망.jpg

 

서광장에서 조망.jpg

 

 

지난 12년 동안 주인을 찾지 못하고 공회전 중이던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 민간개발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대전시와 한국철도공사는 2008년부터 공동으로 추진한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 민간 개발사업 우선협상자로 한화건설 컨소시엄(계룡건설산업, 한화역사, 금성건설, 타오건설, 장원토건, 하나금융투자, 하나은행, 한화에스테이트)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복합2구역 개발사업은 대전시 동구 정동과 소제동 일대의 재정비촉진지구 92만여중 대전역 인근에 위치한 상업지역 부지 약 3를 민간투자를 통해 개발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가 약 9,000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개발 사업이다.

 

그동안 대전시는 대전역세권 개발의 핵심 사업으로서 지역 균형발전과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한국철도공사와 함께 지난 2008, 2015, 20183차례에 걸쳐 민간사업자 공모를 추진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부동산 경기 침체, 주변 상인들과의 이해관계 및 사업성 부족 등 대내외적 요인으로 인해 사업 시행자를 찾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대전시는 개발여건 개선을 위해 인근 도로 및 공원 등 기반시설 확충에 2,382억 원 투자계획을 수립하는 등 지속적인 투자와 함께 지역상인과의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20187)했다.

 

또한 개발 부지의 사업성 개선 및 공익성 확보를 위해 건설쇼핑유통 등 민간 투자자와 부동산 개발도시계획 등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 및 자문을 시행했다.

 

그 결과, 당초보다 주거 비율을 높이고(25%46%), 복합환승센터 부지 기부채납 면적을 축소(당초 14,618㎡→국공유지한국철도공사 소유 부지를 제외한 5,772)하는 등 사업성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지역 상인들과의 상생협력기금 50억 원 조성, 지역업체 참여 시 인센티브 부여, 문화시설 조성 의무화 등 공익성 확보 방안이 이번 공모안에 반영됐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기업환경 변화, 정부의 617 부동산 대책에 따른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으로 일부 공모 결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다.

 

하지만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 따른 대전역세권 혁신도시 추진 발표, 대전지역 부동산 경기 활성화 등은 이번에 반영된 사업성 개선 방안 등과 함께 이번 공모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공모로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한화건설 컨소시엄 사업계획서에 따르면 복합2구역 내에 소통형 커뮤니티 광장, 국제회의관광수요를 고려한 프리미엄 비즈니스 호텔, 문화거점 조성을 위한 뮤지엄, 컨벤션센터 등 복합문화시설과 함께 원도심 재생을 주도할 랜드마크 건물로서 초고층 주거타워, 상생협력 판매시설 등을 조성하는 것으로 제안됐다.

 

제안된 사업계획은 60일 간의 협상을 통해 최종 확정된다.

 

사업이 정상궤도에 오르면 건설기간중 9,000억 원 이상의 민간부문 투자를 통해 생산유발*효과 18,000억 원, 취업유발효과 11,200명 등 지역경제 활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2015 기준년 산업연관표 생산 및 취업유발계수 적용.

 

대전시는 복합2구역 민간개발 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 앞으로 진행 될 재정비촉진계획 변경, 사업시행인가 등 관련 인허가 행정절차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이번 사업을 계기로 대전 발전의 시발점인 대전역 주변을 주거, 문화, 업무, 산업 기능이 다양하게 어우러진 새로운 지역경제 허브로 조성해 제2의 대전 발전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는 대전역 중심의 신르네상스 시대를 시민과 함께 열어가겠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2 전국 최초! 「O2O(On-line To Off-line) 시민계획단」 발족  kmbn2019 2020.07.23 15
391 장마철 대비 도로변 배수시설 점검 실시  kmbn2019 2020.07.06 13
390 인천하늘수에 어울리는 슬로건과 캐릭터 이름을 골라주세요  kmbn2020 2023.07.03 16
389 인천월미공원, 산과 바다 접한 휴식공간으로 새 단장  kmbn 2022.03.21 1419
388 인천여성일자리 발굴을 위한 인천광역‧부평새일센터 (사)인천수출경영자협의회  kmbn2020 2023.05.17 30
387 인천여성가족재단 2024년 2기 교육프로그램 수강생 모집  kmbn 2024.03.04 69
386 인천여성가족재단 2024년 1기 교육프로그램 수강생 모집  kmbn 2023.12.07 44
385 인천시설공단, 안전한 시설 운영으로 시민 행복 이룰 것  kmbn 2024.01.24 88
384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신중년 e커머스에 도전한다  kmbn 2023.11.20 153
383 인천시립교향악단이 남동구로 마실갑니다.  kmbn 2023.11.15 99
382 인천시․옹진군, PAV 실증 센터 조성에 합심  kmbn2019 2020.08.19 15
381 인천시-LH, 비주택 거주자 지원을 위한「 인천 아웃리치 」전개  kmbn2019 2020.07.14 17
380 인천시,‘블록체인 칼리지’로 실무형 인재양성 본격 추진  kmbn 2024.06.25 4
379 인천시, 특화형 경력단절예방 지원사업 공유  kmbn 2023.11.08 46
378 인천시, 직업훈련 마친 정신장애인 바리스타로 취업결실  kmbn 2023.04.21 29
377 인천시, 지역 대기업과 인재채용 등 상생협력 교류 본격화  kmbn 2023.11.15 87
376 인천시, 지식재산 펀드 조성 중소벤처기업 투자 지원  kmbn2019 2020.08.13 14
375 인천시, 지방세 신세원 발굴ㆍ지속가능 세수확충방안 모색  kmbn 2023.04.28 37
374 인천시, 중소기업 재직청년에 120만원 복지포인트 지원  kmbn2020 2023.05.04 21
373 인천시, 전통문화교육「보자기공예 과정」교육생 모집  kmbn 2024.04.22 26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