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bn2019 주소복사
조회 수 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구시, 2020년 주택(50%) 및 건축물 등 재산세 2,453억원 부과(1036천건)

전년대비 고지금액은 137억 증가(5.9%), 부과건수는 13천건 증가(1.3%)

 

 

대구시는 관내 주택, 건축물 등의 소유자에게 7월 정기분 재산세 1036천건, 2,453억원을 부과 고지했다. 이는 전년대비 137억원(5.9%)이 증가된 것으로서, 신규 건축물 증가, 개별주택공시가격 및 건축물 신축가격 기준액 등의 고시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재산세는 과세기준일(매년 6.1) 현재 소유자를 대상으로 매년 7월과 9월에 부과되는데, 7월에는 주택(50%), 건축물, 선박, 항공기가 과세대상이고, 9월에는 나머지 주택(50%)과 토지가 과세대상이다.

 

이번 7월에 부과된 재산세는 2,453억원 규모로서 납부기한은 731일까지다. 납부기한을 넘기면 3%의 가산금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1> 2020. 7월 재산세 유형별 부과 현황

구 분

합 계

주 택

건 축 물

(비주거용)

선 박

항공기

건 수

1,036

844

192

0.7

0.01

세 액

2,453

1,272

1,180

0.1

1.5

(단위 : 천건, 억원)

이번 7월에 부과된 주택 및 건축물의 재산세 건수는 지난해보다 13천건(1.3%) 증가했는데, 유형별로는 주택이 9천건(1.1%) 증가, 비주거용 건축물이 4천건(2.1%) 증가했다.

 

지난해에 비해 주택 및 비주거용 건축물(상가 등) 부과 건수가 증가한 이유는 주택 신축, 비주거용 건축물 신축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

 

<2> 2020. 7월 주택 및 건축물 재산세 증감 현황

(단위 : 천건, 억원)

구 분

2020. 7(A)

2019. 7(A)

증감(A-B)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합 계

1,036

2,453

1,023

2,316

13

137

주 택

844

1,272

835

1,172

9

100

건축물

(비주거용)

192

1,180

188

1,142

4

38

선박,항공기

0.7

1.6

0.7

2.7

0.02

-1

 

주택 및 건축물의 재산세 금액이 지난해보다 137억원(5.9%) 증가한 이유는 재산세 과세표준이 되는 주택공시가격 및 건축물 신축가격 기준액이 단독주택은 5.8%, 비주거용 건축물은 2.9%씩 각각 증가했기 때문이다.

 

<3> 주택공시가격 및 건축물 신축가격기준액 증감 비율(최근 5년간)

(단위 : % )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공 동 주 택

14.2

4.3

4.4

6.6

0.01

단 독 주 택

6.3

5.9

6.3

8.5

5.76

건축물(비주거용)

1.5

1.5

3.0

3.0

2.9

 

 

·군별 7월분 재산세 부과현황을 보면, 수성구가 544억원으로 가장 많고, 달서구 538억원, 북구 370억원 순이며, 가장 적은 구는 남구 98억원이며, 서구 126억원, 중구 165억원 순이다.

 

<4> 2020. 7월 구·군별 재산세 부과 현황

(단위 : 억원, %)

순위

구청명

재산세

점유비

순위

구청명

재산세

점유비

1

수성구

544

22.2

5

달성군

282

11.5

2

달서구

538

21.9

6

중 구

165

6.7

3

북 구

370

15.1

7

서 구

126

5.1

4

동 구

330

13.5

8

남 구

98

4.0

: 재산세는 구·군별 부과총액(재산세+도시지역분+지역자원시설세+지방교육세)

 

이번에 송달받은 재산세는 위택스(www.wetax.go.kr), 대구사이버지방세청(http://etax.daegu.go.kr), 가상계좌, 금융기관 CD/ATM, ARS납부시스템(080-788-8080) 등을 통해 납부할 수 있다.

금융앱 및 모바일 고지서 신청자에게는 종이고지서 미발송

 

한편, 지난 65일부터 지방세입계좌 납부서비스가 시행됨에 따라 재산세 납부시 고지서에 기재된 전자납부번호를 지방세입 계좌번호로 활용, 계좌이체 방식으로 전국 19개 은행에서 이체수수료 없이 납부 가능해졌다.

 

권오정 대구시 세정담당관은 시민들이 바쁜 일상으로 인해 자칫 납부기한을 놓쳐 3%의 가산금과 부동산 압류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납부기한 내 꼭 납부해 줄 것을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2 부산청년만원문화패스 신청 준비해볼까?  kmbn2020 2024.05.29 115
371 평균 5배 이상 비싼 섬 택배 … 인천시, 최대 연 40만원 택배비 지원  kmbn 2024.01.24 115
370 부산시, 올해 기본형 공익직불금 신청 개시  kmbn 2024.01.29 114
369 부산시, 공공시설 생활밀착형 숲(실내정원) 조성 완료!  kmbn 2024.01.16 108
368 '대청로 112' 비밀의 문이 열린다… 부산근현대역사관, 본관 개관 전 사전프로그램 운영  kmbn 2023.12.12 107
367 오영주 장관의 첫 번째 약속, 제1차 「소상공인 우문현답 정책협의회」 개최  kmbn 2024.01.16 107
366 2024년 경기도 예산 전년대비 6.8% 증가. ‘확장재정’으로 경제위기 돌파  kmbn 2023.12.21 106
365 부산시청 들락날락에서 크리스마스 콘서트 개최  kmbn 2023.12.21 106
364 한국생활개선 인천시연합회, 도시민과 함께하는 농업·농촌문화 행사 개최  kmbn 2023.12.27 104
363 12월 31일 인천문화예술회관서 제야의 종소리  kmbn 2023.12.27 104
362 부산시-관계기관, 「범천동 철도차량정비단 이전적지 개발사업 업무협약」 체결  kmbn 2023.12.14 103
361 1월 17일부터 28일까지, 연산터널 양방향 교통통제 실시  kmbn 2022.01.14 99
360 광주시 상하수도사업소, 임시청사 이전  kmbn 2022.01.14 99
359 화마 삼켰던 고성 성천리 산림, 경기-강원 상생협력 상징 「경기의 숲」으로 재탄생  kmbn 2021.12.21 99
358 부산시, 건설위기 속 「주택ㆍ건설경기 상황 점검 회의」 개최  kmbn 2024.01.29 99
357 경기도, 교통 분야 핵심 아젠다 특별조직 구성…GTX 등 대응  kmbn 2024.02.07 99
356 인천시립교향악단이 남동구로 마실갑니다.  kmbn 2023.11.15 99
355 살고 싶은 도시, 온나 부산 「2023 부산도시재생박람회」 개최  kmbn 2023.11.09 98
354 인천시, 다양한 겨울꽃으로 인천애뜰 가득 채워  kmbn 2023.11.10 95
353 인천 마을설화 그림책 2종 발간 기념해, 작가와의 만남  kmbn 2023.11.10 9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