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경기도 산업단지 300인 이하 사업장 노동실태조사 결과 발표

15일 오후 경기도청 상황실서 조사결과 토대로 토론회 개최

 

경기노동.jpg

 

경기도내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산업단지 노동자들의 주당 노동시간이 평균보다 긴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5명 중 1명이 월 200만 원 이하의 임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가 지난 5월 사단법인 시화노동정책연구소를 통해 실시한 경기도 산업단지 300인 이하 사업장 노동실태조사에서 나왔다. 조사는 도내 산단 내 300인 이하 규모 사업장에 근무하는 노동자 2,0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심층 사례를 분석하는 방식 등으로 진행됐다.

주요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들의 평균 주당 노동시간(연장, 휴일 근무 포함)44.72시간으로 도내 평균 주당 노동시간 40.8시간 보다 월등히 높았다. 뿐만 아니라 60세 이상 노동자들은 45.1시간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장시간 노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월 평균임금(수당 등 포함)262.78만 원으로, 도내 전체 제조업 노동자들의 평균임금 322만 원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351만 원 이상 상대적 고임금 노동자 비중은 6.6%에 불과했지만, 200만 원 이하 저임금 노동자는 약 3배인 20.8%로 확인됐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85%가 노동자들의 권익보호와 고충해결을 위해 경기도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답변했으며, 가장 필요한 정책에 대해서는 생활임금 적용 확대39.6%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유급휴가 지원’ 19.1%, ‘여가·편의시설 확충14.3% 순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도 안전보건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아야만 하는 규모 5인 이상 사업체 노동자 1,700명을 대상으로 법정 유급 안전보건교육을 받고 있는지 설문한 결과, 26.9%는 교육을 받지 못했고 16.6%는 안전보건교육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를 수행한 시화노동정책연구소는 노동자들의 처우개선을 위해 중소업체 노동자 대상 유급휴가지원, 간접임금 확대, 생활임금 적용 대상 확대, 산단 내 공동 복지시설 및 산업안전 교육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특히 고용, 임금, 노동시간, 산업안전 등에 대한 체계적 관리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과 이를 관장하는 별도의 기구 설립이 수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오는 15경기도 산업단지 300인 이하 사업장 노동실태 및 산업단지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한다.

토론회에서는 시화노동정책연구소의 손정순·박종식·남우근 연구위원이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어 경기연구원 정원호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으로,염동일 산업단지관리공단 경기본부 산단기획단장, 홍석범 금속노조 노동연구원 연구위원, 이순갑 한국노총 교육국장, 정현철 금속노조 시흥·안산지역지회장이 토론자로 나서 산단 노동자들의 노동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을 함께 고민할 예정이다.

김규식 경기도 노동국장은 이번 실태조사는 열악한 노동환경에 있는 산단 내 소규모 사업장 노동자의 처우개선을 위해 실시한 것이라며 실태조사 결과와 토론회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관련 정책을 발굴·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2 부산청년만원문화패스 신청 준비해볼까?  kmbn2020 2024.05.29 115
371 평균 5배 이상 비싼 섬 택배 … 인천시, 최대 연 40만원 택배비 지원  kmbn 2024.01.24 115
370 부산시, 올해 기본형 공익직불금 신청 개시  kmbn 2024.01.29 114
369 부산시, 공공시설 생활밀착형 숲(실내정원) 조성 완료!  kmbn 2024.01.16 108
368 '대청로 112' 비밀의 문이 열린다… 부산근현대역사관, 본관 개관 전 사전프로그램 운영  kmbn 2023.12.12 107
367 오영주 장관의 첫 번째 약속, 제1차 「소상공인 우문현답 정책협의회」 개최  kmbn 2024.01.16 107
366 2024년 경기도 예산 전년대비 6.8% 증가. ‘확장재정’으로 경제위기 돌파  kmbn 2023.12.21 106
365 부산시청 들락날락에서 크리스마스 콘서트 개최  kmbn 2023.12.21 106
364 한국생활개선 인천시연합회, 도시민과 함께하는 농업·농촌문화 행사 개최  kmbn 2023.12.27 104
363 12월 31일 인천문화예술회관서 제야의 종소리  kmbn 2023.12.27 104
362 부산시-관계기관, 「범천동 철도차량정비단 이전적지 개발사업 업무협약」 체결  kmbn 2023.12.14 103
361 1월 17일부터 28일까지, 연산터널 양방향 교통통제 실시  kmbn 2022.01.14 99
360 광주시 상하수도사업소, 임시청사 이전  kmbn 2022.01.14 99
359 화마 삼켰던 고성 성천리 산림, 경기-강원 상생협력 상징 「경기의 숲」으로 재탄생  kmbn 2021.12.21 99
358 부산시, 건설위기 속 「주택ㆍ건설경기 상황 점검 회의」 개최  kmbn 2024.01.29 99
357 경기도, 교통 분야 핵심 아젠다 특별조직 구성…GTX 등 대응  kmbn 2024.02.07 99
356 인천시립교향악단이 남동구로 마실갑니다.  kmbn 2023.11.15 99
355 살고 싶은 도시, 온나 부산 「2023 부산도시재생박람회」 개최  kmbn 2023.11.09 98
354 인천시, 다양한 겨울꽃으로 인천애뜰 가득 채워  kmbn 2023.11.10 95
353 인천 마을설화 그림책 2종 발간 기념해, 작가와의 만남  kmbn 2023.11.10 9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