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bn2019 주소복사
조회 수 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경기도 집합건물관리지원단맞춤형 현장자문으로 건물관리 분쟁예방에 도움

올해 하반기, 50회의 집합건물관리지원단 무료 자문서비스 제공

 

 

경기도는 오피스텔이나 상가 등 집합건물에 민간전문가들이 직접 방문해 관리문제에 대해 무료로 자문하는 집합건물관리지원단을 운영 중이라고 29일 밝혔다.

집합건물관리지원단은 변호사, 회계사, 주택관리사, 건축사, 노무사 등 각 분야 전문가 30명으로 이뤄져 있다. 도는 집합건물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관리인, 구분소유자 또는 점유자를 대상으로 관리비 및 회계운영, 규약, 시설안전, 노무 등 건물관리에 대한 자문서비스를 지난 3월 시작해 상반기 기준 총 24회 제공했다.

오피스텔에서는 입주 초기 입주민이 관리를 개시하기 전에 시행사가 특정 관리업체와 계약해 입주민에게 관리비 세부내역을 비공개하고, 장기 독점관리를 위해 관리단 집회 개최를 방해하는 등의 행위로 입주민의 권리를 침해한다는 신청내용이 많았다.

이에 지원단에서는 집회 서면결의서, 대리인위임장 등 증빙서류의 유효성을 검토하고 관리주체 변경을 위한 적법한 관리인 선임 절차를 자문해 오피스텔 입주민이 적법한 관리단 집회를 개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상가의 경우 관리업체에서 입점 점주에게 공실의 공용부 관리비를 부과하고, 미납 관리비 연체료를 관리업체 수입으로 책정하는 등 관리비를 불투명하게 운영해 입점점주에게 피해를 준다는 지원신청이 주로 접수됐다.

지원단은 상가 입점점주 및 관리인에게 관행적으로 부당 부과된 관리비를 바로 잡기 위한 관리단 집회 결의 절차와 관리업체에 대한 법적 대응방법에 대해 자문 지원했다.

도는 이처럼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입주민 또는 관리인의 지원신청이 접수되면 건물관리현황을 사전검토 후,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지원단과 함께 현장에 직접 찾아가 필요한 법률 자문을 해주며 신청인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하지만 현행법 상 지자체에 조사·처분 권한이 없어 집합건물의 주요 갈등원인인 관리비 비공개 및 과다부과 의혹에 대해 해소되지 않아 근본적인 집합건물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현장의 목소리도 있다.

홍지선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입주민이 자신의 권리를 적법하게 행사해 건물관리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집합건물관리지원단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경기도 차원에서 현재 공공의 역할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학술연구용역을 실시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제도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도는 올해 하반기에도 약 50회의 집합건물관리지원을 시행할 예정이다.

지원신청 대상은 집합건물법의 적용을 받는 오피스텔, 상가, 150세대 미만 공동주택 등이며, 집합건물의 관리인, 구분소유자 또는 점유자가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단 구분소유자 또는 점유자 신청 시 구분소유자 또는 점유자의 10분의 1 이상의 동의서가 있어야 한다.

신청 방법은 경기도청 홈페이지(www.gg.go.kr)에서 신청서를 내려 받아 팩스(031-8008-3479)로 전송하거나 우편(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1 경기도청 건축디자인과)으로 접수하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2 부산시, 코로나19 극복 위해 ICT융합 분야 기업지원 확대  kmbn2019 2020.07.17 15
271 부산시, 청년문화축제 사상인디스테이션 10주년 기념행사 <회상(回想)> 개최  kmbn2020 2023.07.05 33
270 부산시, 창작 뮤지컬 ‘야구왕, 마린스!’ 오는 7월 공연  kmbn2020 2023.05.24 66
269 부산시, 집중호우 피해 도로 복구 위해 구‧군에 2억 지원  kmbn2019 2020.08.06 15
268 부산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청소년 꿈+(더하기) 연계협력사업 추진!  kmbn2020 2023.07.06 33
267 부산시, 종이 없는 스마트 건축위원회 구·군 확대 운영  kmbn 2023.04.14 52
266 부산시, 제2차 (예비)사회적기업 일자리창출사업 공모  kmbn2020 2023.07.05 33
265 부산시, 제16회 부산항축제(Busan Port Festival) 개최  kmbn2020 2023.05.23 54
264 부산시, 전국 최초 시민계획단 비대면 화상 토론 진행  kmbn2019 2020.08.06 14
263 부산시, 재개발사업 임대주택 건설비율 10%로 상향 추진!  kmbn2019 2020.08.05 15
262 부산시,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본격 해소 추진  kmbn2019 2020.08.11 15
261 부산시, 올해 첫 「찾아가는 전세사기피해 예방 교육」 실시  kmbn 2024.03.13 54
260 부산시, 올해 기본형 공익직불금 신청 개시  kmbn 2024.01.29 114
259 부산시, 아이돌봄서비스 우수기관 5곳 선정 쾌거  kmbn 2023.12.08 60
258 부산시, 신발커스텀 메카 도시로 거듭난다!  kmbn2019 2020.07.29 14
257 부산시, 소상공인 특별자금 600억 원 이차보전 2.5%로 확대 지원  kmbn2020 2023.05.09 14
256 부산시, 섬유패션소재 산업의 포스트코로나 대책 논의  kmbn2019 2020.07.07 13
255 부산시, 설 연휴 생활정보 안내 사이트 운영  kmbn 2024.02.07 86
254 부산시, 서부산권에 1조 5천억 원 신재생에너지 투자 유치  kmbn 2021.12.15 40
253 부산시, 사회적경제육성위원회 개최… 올해 사회적경제 육성 시행계획 심의·확정  kmbn 2024.03.29 357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