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bn2019 주소복사
조회 수 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협력 MOU’ 체결  주한 독일기업인과의 정책대화 - 

 

 스마트 제조, 소재·부품·장비, 스타트업  3 분야에 대해 - 중소기업·스타트업간 실질적 협력 확대를 위한 기반 마련 

 

 

박영선 장관, 주한 독일기업인 대상 중기부 정책방향 소개  세부협업방안* 제시- 기업간 기술협력의 연결자 역할 강조 

 

    * 스마트 제조데이터 협력, 소재부품장비 분야 - 강소기업 라운드테이블 행사 개최, 양국 대기업-스타트업간 협업기회 확대 등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중기부) 16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최철안, 기정원), 창업진흥원(원장 김광현, 창진원),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회장 조홍래, 이노비즈협회)  3 산하유관기관과 한독상공회의소(회장 김효준, 한독  상의) - 기업간 기술  교류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박영선 장관이 - 무역 갈등 장기화,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지혜롭게 이겨내기 위해 4 산업혁명 대응 선두주자인 독일과 데이터  네트워크 선도국가인 한국의 기업간 협력 필요성에 주목하면서 추진된 것이다.

 

 

< 업무협약식 개요 >

 

 

 

일시·장소 : 2020. 1. 16(), 밀레니엄서울힐튼 그랜드볼룸(LL)

협약당사자 : () 기정원, 창진원, 이노비즈협회, ()한독상의

참석자 : 중기부 장관, 기정원 원장, 창진원 원장, 이노비즈협회 회장  한독상의 회장, 주한 독일 부대사 

협약의 주요내용은 스마트 제조, 소재·부품·장비 산업  스타트업  3 분야에서 양국의 중소기업·스타트업  협력을 확대하자는 것이 골자다.

 

먼저, 스마트 제조 분야에서는 스마트 제조 관련 연구개발, 보급  확산을 공동 추진하고, 양국의 스마트 제조 전문기관과의 업무협력 지원, 정보교환 등에 대해 협업하기로 했다.

 

,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는 양국기업들이 보유한 기술정보를 공유하고, 기술수요를 파악해 이를 기반으로  협업과제를 공동 수행한다.

 

스타트업 분야에서는 투자설명회  관계 형성을 위한 다양한 행사를 정례화하고, 양국의 스타트업들이 상대 국가를 포함한 유럽  아시아 지역에 진출할  있도록 정보교류 등을 통해 상호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러한 협력 사항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점검하기 위해   양국의 관계기관들이 ‘- 기업지원 협의체 설치하고, 협력사항의 발굴과 이행, 점검 등을 담당하도록  계획이다.

 

  * 구성 : () 중기부, 기정원, 창진원, 이노비즈협회, () 한독상의, 프라운호퍼연구소

 

이번 협약식은 한독상의가 주한 독일기업인 대상으로 개최하는 연례행사(Economy Outlook 2020) 맞춰 진행됐다.

 

한편, 행사에 참석한 박영선 장관은 주한 독일기업인 100여명을 대상으로 금년도 중기부의 주요정책 방향을 소개했다.

 

<중기부 2020 주요정책 방향> ①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 스마트 대한민국, ② 세계 4 벤처스타트업 강국으로 도약, ③ 소재, 부품, 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 ④ 자상한 기업, 가치삽시다 운동 계속 추진, ⑤ 기술발달에 따른 정부규제의 혁신(상세내용 참고3)

 

이날 박영선 장관은 “- 기업협력 업무협약은 양국의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성과를 만들어   있는 협력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매우  깊다 소감을 밝히고,

 

독일은 제조 강국이면서 4 산업혁명에 맞춘  빠른 대응으로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한 국가이고, 한국은 세계 최초로 5G 인프라 상용화, 디지털 데이터 5 생산국인 만큼 양국의 기업들이 서로 협력한다면 시너지를 극대화할  있다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박영선 장관은 양국 기업간 구체적 협업과제로 4 한국과 독일의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이 함께 만나는 ‘- 강소기업 라운드테이블 행사 개최할 것과 지난해 10 열린 ‘독일기업 오픈 이노베이션데이처럼 양국 대기업-스타트업이 참석해 협업의 기회를 모색 하는 자리를 확대해 나가자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