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도내 대형유통점 797곳 대상 추석연휴 휴무 여부조사

- 1일 휴무 56.1%, 휴무일 없음 29.1%로 전체의 85% 이상

대규모유통업법상 휴일요청권은 질병사유만 가능. 입점사업자 보호를 위해 법 개정 필요

 

 

도내 대형유통점 10곳 중 3곳은 올해 추석연휴 5일 중 휴무일이 하루도 없었으며, 연휴기간 하루만 쉰 매장은 전체의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925일부터 108일까지 도내 백화점 24, 대형마트 112, 하나로마트 225곳 복합쇼핑몰·아울렛 41, 기업형 슈퍼마켓(SSM) 395곳 등 대형유통점 797곳을 대상으로 추석연휴 휴무에 대해 홈페이지 확인과 전화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추석 연휴 5일간 휴무가 하루였다는 곳이 전체의 56.1%447곳으로 가장 많았다. 휴무일이 아예 없었다는 곳도 232곳으로 전체의 29.1%에 달했다. 휴무일이 아예 없거나 하루에 그쳤던 곳이 전체의 85%를 넘었다. 2일 휴무(7.65%), 3일 휴무(3.64%), 4일 휴무(2.38%), 5일 휴무(0.88%)는 전체의 15%가 채 되지 않았다.

업태별 평균 휴점일은 백화점이 1.75, 하나로마트 1.54, 대형마트 0.58, 복합쇼핑몰·아울렛 0.73, 기업형 슈퍼마켓 0.72일 순이었다.

도는 또, 지난 930일부터 108일까지 20~60대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도민감시단, 청년인턴 직접조사를 통해 대형유통점 이용 및 휴무일에 대한 인식 조사도 실시했다.

그 결과 입점사업자를 고려했을 때 적정휴무일은 2~3일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2/3를 차지했다(239%, 328%). 추석연휴 대형유통점의 휴무에 대한 불편함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불편하지 않다(56.8%)가 불편하다(35%)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무엇보다 대형유통점 내 모든 매장의 통일적 영업 여부에 대해서는 입점사업자 사정에 따라 영업 여부가 결정돼야 한다는 의견이 83.8%로 압도적이었고 모든 매장이 영업해야 한다는 의견은 10.2%에 불과했다.

김지예 경기도 공정경제과장은 현행 대규모유통법 상 입점사업자는 질병 치료외 휴일을 요청할 수 없어 명절 등에도 전 매장 개장을 사실상 강요받고 있는 상태라며 유통점 내 개별사업자로 계약한 입점사업자도 많기 때문에 스스로 매장 개장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대형유통점 내 입점사업자 보호를 위해 지난 6~9복합쇼핑몰 내 입점사업자에 대한 불공정 거래현황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대형유통점 내 입점중소상인 보호 방안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0 광주시 지역아동센터연합회, ‘퇴촌 토마토 팔아주기 운동’ 동참  kmbn2019 2020.06.22 3
119 광주시 오포읍 새마을협의회, 사랑의 감자심기  kmbn2019 2020.03.30 4
118 광주시 송정동 새마을협의회, 사랑의 감자 심기 행사 개최  kmbn2019 2020.04.08 7
117 광주시 남한산성면 새마을 가족, ‘사랑 나눔의 고구마 심기’ 행사 개최  kmbn2019 2020.05.01 5
116 광주시 남한산성면 새마을 가족, ‘사랑 나눔의 감자’ 수확  kmbn2019 2020.07.21 4
115 광주시 곤지암읍 새마을지도자협의회, 사랑의 감자 캐기  kmbn2019 2020.07.01 7
114 광복절 연휴, 시흥 바라지마켓서 사은품도 받고 중소기업도 살려요!  kmbn2019 2020.08.14 31
113 과학기술로 지역산업 혁신에 기여한 주인공을 찾습니다!  kmbn2019 2020.09.08 31
112 공공배달앱 우선 협상 대상자로 NHN페이코 컨소시엄 선정  kmbn2019 2020.07.06 2
111 공공배달앱 등 ‘경기도형 뉴딜정책’, 대한민국 일자리 엑스포서 대 국민 홍보 나서  kmbn2019 2020.11.04 34
110 고품질 경기미 생산 위해 볍씨 소독 “필수”  kmbn2019 2020.04.06 6
109 고운동 우수 농산물 직거래장터 운영 시작  kmbn2019 2020.07.07 9
108 경상북도가 농식품 창업의 꿈을 응원합니다!  kmbn2019 2020.08.26 28
107 경북특화작목 산․학․연 협력으로 수출경쟁력 높인다  kmbn2019 2020.07.23 6
106 경북도, 환경개선부담금 3월말에서 6월말로납부 기한 연장!  kmbn2019 2020.03.30 6
105 경북도, 한국전력기술과 농어촌 상생협력 강화한다  kmbn2019 2020.08.31 32
104 경북도, 한국전력과 손잡고 축산분뇨 고체연료화 사업 추진  kmbn2019 2020.08.19 31
103 경북도, 코로나19 피해 농어업인 농어촌진흥기금 긴급 지원  kmbn2019 2020.03.30 4
102 경북도, 청년이 행복한 경북 만들기 3대 청년벨트 추진  kmbn2019 2020.11.05 37
101 경북도, 수출기업-해외사무소 수출 핫 라인 구축  kmbn2019 2020.03.30 4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ext
/ 28